##################IF문##################
IF문이란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실행이 되는 것을 뜻한다.
if(true or false) { if절
then절
} else {
}
{ } 을 코드 블락(중괄호) 이라고 한다.
else if도 위와 동일하게 실행
조건문의 중첩 : if문 안에 다시 if문이 등장
조건식에는 논리연산자인 && || ! 가 들어갈 수 있다.
여러개가 들어가면 앞의 2개씩 끊어서 그 결과값과 다음 값을 연산하게 된다.
<예시>
if(i <= 5){
처리할 명령들 A
}
else{
처리할 명령들 B
}
-> 변수 i 의 값이 5보다 작거나 같으면 A를 처리해라. 그렇지 않으면 B를 처리해라
##################Swith문##################
변수 하나가 여러가지 특정 값으로 나올 때 사용
switch(변수명){
case(변수)
실행 코드
break;
default
실행코드
break;
}
switch문은 조건식이 아닌 변수를 조건으로 잡아서 그 변수의 값에 맞는 case 문을 실행하게 된다.
switch문의 변수명에 문자가 들어가면 ' ' or " "를 써줘야 인식함.
case 문의 조건은 순서와 상관 없다.
break : switch 문의 실행이 즉시 중지. 해당코드블록을 무조건 종료시킴.
break를 적어주지 않는 다면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case 부터 break가 있는 case까지 모두 실행하게 된다.
(따라서 case와 break는 항상 같이 쓰임)
default : 주어진 케이스가 없는 경우 default 문이 실행된다는 것.
switch 문을 사용할 때 한가지 주의 할 것은 switch의 조건으로는 몇가지 제한된 데이터 타입만을 사용할 수 있다.
byte, short, char, int, enum, String, Character, Byte, Short, Integer
swtich 보다 if문을 많이 씀(switch는 조건 일일이 써야함, if문은 범위가 넓음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