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################# 변수의 선언과 값넣기 ##################
int a =30
변수타입 변수명(=초기화 값)
int a ;
정수 값을 담는 a라는 이름의 변수를 선언한다
################## 변수의 종류 ##################
기본형변수 : byte, short, int, long, float, double, char, boolean : 크기 정해져있음
Byte : 8bit의 매우 작은 정수 (-128 ~ +127)
Short : 16bit의 작은 정수(약 -3만 ~ +3만)
Int : 32bit의 정수 **정수의 기본형** (약 -21억 ~ +21억)
Long : 64bit의 큰 정수 (약 -900경 ~ +900경)
Float : 적은 자릿수의 실수
Double : 큰 자릿수의 실수
Char : 글자 한가지 ex)'a','b','c' (문자를 담을때 ' '로 표시)
String : 문자열 ex) "학교", "Hi, I'm Jun!" (문자를 담을때 " "로 표시)
Boolean : 참/거짓 ex) True/False
참조형변수 : 클래스형, 인터페이스형, 배열형 : 힙메모리 크기 정해져있지 않음
클래스형 : string(문자열)
배열형 : int(같은 데이터 타입을 쭈욱 나열하는 것)
################## 기호 읽는법 ##################
int a; 는 "지금부터 a를 변수로 쓰겠습니다" 라는 의미다. 이를 [선언]이라 한다.
a=1' 은 "지금부터 a 안에는 1이 들어있습니다" 라는 의미다. 이를 변수 a에 숫자 1을 [할당, 저장]했다고 한다.
int a = 12; 는 "정수값을 담는 a라는 이름의 변수를 선언하고 12를 저장한다" [변수에 값 저장]
이제 System.out.println(a+1); 코드에서 자동으로 a는 1로 해석된다.
※java에서 // 뒤에오는 코드는 사용자를 의한 주석으로, 컴파일되지 않고 무시됩니다.
################## int와 double ##################
He, She와 같은 대명사를 보면 He에는 당연히 여자를 쓰면 안된다. She에 남자이름을 써서도 안되고.
코딩에서도 마찬가지다. int는 반드시 '정수'만을 취급하기 때문에 int a; a=1.1; 과 같이 정수가 아닌값을 쓰면 안된다.
1.1과 같은 실수는 double 을 사용한다. 이처럼 올바른 대명사(변수) 를 사용해야 한다.
################## 문자열 ##################
숫자 뿐만 아닌 문자나 문자열 역시 변수로 설정 가능하다. 이를 위한 데이터 형식은 String으로, 문자와 문자열을 변수로 지정할수 있다.
※변수를 선언하는것과 값을 할당하는것을 한줄로 표현하려면, String a = "값" 같이 쓸 수 있습니다.
int a, b; 과 같이 한번에 변수를 두개 이상 지정할수도 있습니다.
이렇게 데이터 형식, 변수, 선언, 할당 등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중요한 변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.
변수의 이름 그대로 변하기 쉬운 대상을 관리하기에 굉장히 유리하며, 작업의 반복성을 줄여준다.